외배엽의 분화 및 신경관, 신경능선의 형성
- 루나문의 개인공간 끄적끄적
- 2022. 11. 21. 01:23
반응형
250x250
반응형
- 외배엽에서 나오는 3가지 -
1. 표면 외배엽(표피)
표면외배엽은 수정체, 각막을 형성 하게 된다.
2. 신경능선
신경능선은 멜라닌 세포, 얼굴연골, 부신수질, 교감/부교감 신경(절후신경), 감각신경형성, 교세포(슈반세포, 신경아교세포) 등을 형성 하게 된다.
cf) 신경능선에서 교세포의 슈반세포와 신경아교세포(=교세포) 형성
-> 슈반세포: ‘말초신경계’의 ‘수초’를 형성, 신경아교세포(=교세포) 형성
신경관에서 뇌실 희소돌기 성상세포(모세혈관둘러싸BBB형성, 혈액에서 포도당흡수해 젖산으로 바꿔서 신경세포들에 공급, 뇌 속의 고칼륨혈증 보호를 위해 세포외액에서 과량의 K+나 신경 전달 물질 흡수, 신경세포지탱)
3. 신경관(배의 앞뒤축을 따라 형성된다)
신경관은 중추신경계, 운동신경(체성운동신경, 자율신경의 절전) 등 형성 하게 된다.
- 신경관 및 신경능선의 형성 -
1) 등쪽 중배엽에서 유래한 척삭이 위쪽 외배엽에 신호를 주면
2) 위쪽 외배엽이 신경판이 되어진다.
3) 신경판이 되어진 위쪽 외배엽은 미세소관‘의 재배열로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위층의 액틴은 조이게 되어 (위쪽 외배엽의 가운데는 N카드헤린, 위쪽 외배엽의 양쪽 가시부분은 E카드헤린을 발현한다)
4) 그리고 동그랗게 원통형의 모양으로 함입되어져서 신경관이 된다.
5) 그리고 다시 외배엽 유래의 신경능선이 더 생기게 됨
반응형
'루나문의 개인공간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회는 자기 자신에 대한 또 다른 학대입니다 (0) | 2025.02.07 |
---|---|
사람발생학 14판 10장. 몸통뼈대 (The Axial Skeleton) 문제와 답 (0) | 2022.11.21 |
사람발생학 (제14판) 17장. 머리와 목 (0) | 2022.11.21 |